728x90 반응형 프론트엔드7 Tanstack Table 쓰기 전에 공식문서 읽어보기(번역과 함께) 들어가며최근 취업을 준비하면서, 친구들과 함께 면접 질문을 아카이빙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면접 준비 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질문들을 정리하고,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거나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프로젝트입니다. 이 과정에서 질문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보여줄 필요가 있었고, 어떤 테이블 라이브러리를 사용할지 고민하던 중 TanStack Table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기존에도 프로젝트에서 Shadcn UI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같은 Headless UI 접근 방식을 유지하는 것이 좋겠다는 결론을 팀원들과 함께 내린 점도 선택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또, 향후 데이터 패칭이나 무한 스크롤 기능을 직접 구현해보고, 이후에 TanStack Q.. 2025. 4. 4. [why]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써 알아야 되는 부분들 개요현대 웹 개발에서는 수많은 기술과 도구들이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개발자들은 단순히 사용법을 익히는 것을 넘어, 각 기술의 존재 이유와 작동 원리를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시리즈는 프론트엔드 개발의 핵심 영역들에 대해서 학습하고 정리해보려고 합니다.시리즈의 목적프론트엔드 기술의 근본적인 원리와 배경 이해기술 선택과 의사결정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 제공발전하는 웹 생태계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도모실무에서 마주치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 능력 향상주제 목록1. 자바스크립트의 핵심 개념undefined는 어떤 목적으로 탄생했을까?자바스크립트가 스크립트 언어로 설계된 이유는?객체 기반 언어로서의 자바스크립트의 특징은?싱글 스레드 동작 방식의 장단점은?호이스팅은 어떤 원리로 동작하.. 2024. 10. 26. [네이버 부스트캠프]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비교하기(feat. typescript) 들어가며최근 네부캠에서 후반부 학습 스프린트를 진행하면서 프레임워크를 직접 구축해보는 경험을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각 프레임워크의 등장 배경, 그들이 해결하고자 했던 핵심 문제들, 그리고 그 해결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그룹 활동 중에 리액트가 주로 논의되었지만,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폭넓게 이해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번 기회에 주요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들의 역사와 특징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참고해주셨으면 하는 부분은 jQuery와 React가 엄밀히 말해 프레임워크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jQuery는 라이브러리이고, React는 라이브러리 혹은 UI 개발을 위한 JavaScript 도구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이들을 이 글.. 2024. 9. 24. [ICT 인턴십] 지원부터 인턴까지 - 지원하기 인턴십 신청부터 인턴을 했던 과정까지2024.03.~2024.06. 까지 관악구 있는 L사 에서 프론트엔드 개발 인턴으로 ICT 학점 연계 인턴십을 통해서 4개월 간 인턴으로 근무를 하게 되었던 과정에 대해서 인턴이 끝나고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인턴십을 알고는 있었지만 제가 학교가 경북대다 보니 이쪽에는 해당 프로그램을 많이 했던 사람이 없어 정보가 부족했던 와중에 추천을 받아서 지원을 하고 인턴을 했던 과정을 정리하려 합니다. "ICT 인턴십 꼭 해요" (캠프원들이 인턴십 프로그램을 추천 하면서)올해 초 스마일게이트에서 진행했던 개발캠프에 참가하면서 캠프원들과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덕분에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는데, 그 중에 가장 캠프원들이 추천을 해주었던 게 바로 IC.. 2024. 7. 9. [GDSC] konkuk kprint; (건국대 컨퍼런스를 다녀오며) [1편] 경북대에서 GDSC 2기와 중도에 인턴과 캠프 때문에 나오게 됐지만 3기까지 활동을 하면서 전국의 여러 대학에 있는 GDSC에서 진행하는 행사를 자주 참가하러 다녔던 것 같습니다. 다녀온지는 꽤 됐지만 항상 정리는 열심히 해놓고 블로그에 올려야지 올려야지 하다가 습관을 좀 잡으려고 하나씩 올려볼까 하다가 이게 제일 먼저 생각나서 살살 적어봅니다. 생각보다 다양한 주제로 이워져 있어서 흥미가 갔었고, 백엔드 현직자 한명 그리고 컴공 복수전공생 한명을 꼬셔서 컨퍼런스를 들으러 가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관심있었던 내용은 제가 프론트를 하고 있기 때문에 "React 19, 2년만의 업데이트엔 무엇이 달라졌을까?" 였지만 다른 주제들도 워낙 흥미로운 주제가 많아서 현장에서 여쭤보고 영상을 올려주신다고 하셔서 .. 2024. 5. 17. [우아콘] 프론트엔드 상태관리 실전편을 보고 나서 상태관리 → 상태와 관리가 합쳐진 말 State: A Component’s Memory → 컴포넌트의 메모리가 상태이다 최근 리액트 개발에서 컴포넌트가 중심에 있음. → 어떤 팝업을 화면에 띄울지 말지, 주문/배달의 진행은 어떠한지 상태는 공통으로 그리고 단일로도 사용되어질 수 있는 개념임. 상태관리가 등장한지도 얼마 안됐는데 한계점도 있음 상태관리 방법의 변화 Redux로 상태관리를 풀고 있었고 → mobX등으로 해결을 해나가려고 했음 여전히 코드가 너무 많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해결할 만한 방법 X → Post 상태관리, 원격 상태관리가 나옴 리덕스, mobx에는 스토어가 큰 것도 있지만 상태관리보다 API 호출 코드가 더 많다는 문제가 있음. Mobx + React-query 를 쓰니 스토어는 단순해.. 2024. 1. 30.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