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EV83 [백준] 13305 - BigInt 사용하기 const fs = require('fs');const filePath = 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input.txt';const input = fs.readFileSync(filePath).toString().trim().split('\n');//도시 마다 가야 되는 거리가 적혀있고//도시마다 기름값이 적혀있음//처음에는 첫 도시에서 기름을 넣어주고 다음 도시로 이동//다음 도시로 이동할 때 기름값이 더 싸면 그 도시에서 기름을 넣어주고 다음 도시로 이동//기름값이 더 비싸면 다음 도시로 이동//도착지로 이동할 때 필요한 최소비용을 구하라let N = parseInt(input[0]);let distance = input[1].split('.. 2025. 1. 15. [자바스크립트 코테 준비] Map 정리하기 1. Map이란?Map은 키(key)와 값(value)을 쌍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입니다.일상생활 속 Map의 예시사물함: 사물함 번호(키)와 그 안의 물건(값)전화번호부: 이름(키)과 전화번호(값)학생 명부: 학번(키)과 학생 정보(값)Object와 Map의 차이키의 유연성Object: 문자열과 Symbol만 키로 사용 가능Map: 모든 값(함수, 객체, 숫자 등)을 키로 사용 가능순서 보장Object: 키의 순서가 보장되지 않음Map: 삽입한 순서대로 보장됨크기 확인Object: 크기를 직접 계산해야 함Map: size 속성으로 쉽게 확인 가능2. Map 기본 사용법생성// 빈 Map 생성const map = new Map();// 초기값과 함께 생성const mapWithInit = new Map.. 2025. 1. 4. [FE] 쉽게 이해하는 Vitest 주요 기능 완성 가이드 들어가며네이버 부스트캠프에서 프론트엔드 테스트 코드 작성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리액트의 defacto가 된 Vite에서 사용하는 Vitest를 적용하기 위해 공부하면서 알게 된 내용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왜 테스트 코드가 필요했나요?부스트캠프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상황들을 자주 마주쳤습니다:🐛 예상치 못한 버그 발생"잘 되던 기능이 갑자기 작동하지 않아요!""다른 팀원의 코드를 수정했더니 연관된 기능이 깨졌어요."🤝 팀 협업의 어려움코드 리뷰할 때 해당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일일이 확인하기 힘들었습니다.다른 팀원의 코드를 이해하고 수정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빠른 개발 주기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마다 모든 기능을 수동으로 테스트하기에는 시간이.. 2024. 11. 17. [why] 📚 테스트 코드는 왜 작성해야 할까요? 특히 프론트엔드에서는요? 들어가며테스트 코드. 올해 제가 가장 많이 마주한 단어이자, 그 필요성을 뼈저리게 느낀 개발 문화입니다. 이 깨달음은 두 가지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해 얻게 되었습니다.첫 번째는 상반기 인턴 근무 중의 경험입니다. 당시 저는 혼자 개발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동료 개발자의 코드 리뷰나 피드백을 받을 수 없는 환경에서, 제가 작성한 코드의 신뢰성을 검증할 방법이 절실했습니다. 이때 테스트 코드의 부재가 얼마나 큰 리스크가 될 수 있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두 번째는 현재 참여 중인 네이버 부스트캠프에서의 경험입니다. 5명으로 구성된 팀에서 유일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웹 풀스택 과정이기에 팀원들이 제 코드를 리뷰할 수는 있지만, 복잡한 상태 관리나 사용자 인터랙션과 같은.. 2024. 11. 16. [네이버 부스트캠프] 퍼널 적용하기 BooQuiz 프로젝트의 React Custom Hook을 활용한 퍼널 구현하기목차문제 상황구현 목표설계 및 구현상세 구현사용 예시최적화 및 개선결론문제 상황실시간 퀴즈 플랫폼인 BooQuiz를 개발하면서 가장 큰 도전 과제는 퀴즈 진행 과정의 복잡한 상태 관리였습니다. 퀴즈 참여자들이 대기실에서 시작하여 문제 풀이, 결과 확인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퍼널)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었습니다:퀴즈 진행 단계별로 복잡한 상태 전이가 필요했습니다.실시간 타이머와 답안 제출이 동기화되어야 했습니다.여러 컴포넌트에서 퀴즈 상태를 일관되게 관리해야 했습니다.네트워크 지연이나 오류 상황에 대한 견고한 처리가 필요했습니다.구현 목표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2024. 11. 12. 2024 GDSC 건국대 컨퍼런스 후기: CS와 함께하는 백엔드 이야기 들어가며개인적으로 무협만화를 좋아하는 편이라 자주 나오는 말을 인용해보자면 "만류귀종(萬流歸宗)"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모든 물줄기가 결국 한 근원으로 돌아간다는 의미인데, 웹 개발도 이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프론트엔드, 백엔드라는 구분을 넘어서,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고 통찰할 수 있을 때 더 나은 개발자가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최근 네이버 부스트캠프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우리 팀은 저를 제외한 4분의 백엔드 개발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론 다른 분들이 프론트엔드를 일부 협업 작업을 해주시겠지만, 저 또한 4분의 이야기에 참여하여 의견을 나눌려면 스스로의 이해도를 올려야 된다고 생각합니다.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던 중, 지난 4월 GDSC 건국대학교의 컨퍼런스에 참석했던게 생각.. 2024. 10. 30.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