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DEV73

[React] GDSC 2차 프로젝트 - 개발환경 세팅 활동 중에 있는 GDSC 2차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React + TypeScript + Vite로 진행 하는 과정을 대충이나마 정리해보려고 한다. vite를 통해서 리액트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방법이 여러 개가 있겠지만 이번에는 "yarn create vite"로 시작을 해보았다. 이전에는 아마 typescript를 지정해서 만들어주는 식으로 해주는 걸 주로 사용했었던 거 같은데, 보통은 이렇게 생성을 하는 것 같다. 기본 package.json을 바탕으로 라이브러리를 설치할 수 있도록 "yarn install"을 해주면 일단 프로젝트 생성은 끝이다. 짤막하게 하면서 계속 글을 올려볼까 하는데 언제 올릴지는.. 😅 2023. 7. 21.
[JS 공부하기] 1일차 - 프로그래머스 LV.0 1학기가 끝나면 코테, CS 공부를 열심히 해야지라고 생각하고 인도 온지 벌써 2주차인데 공부보다는 운동을 더 열심히 하는 것 같다😅 같이 온 팀원을 본받아서 조금씩 시작해보려고 몸풀기로 JavaScript공부를 시작했다. 일단은 공식문서 안보고 문제 푸는 정도로 시작을 해서 프로그래머스 레벨 0 문제를 좀 풀어봤는데 생각보다는 나쁘지 않게 풀리는 것 같다. 매일 조금씩이라도 문제도 풀고 1학기 때 수강했던 수업들 내용도 정리해둬야 될 것 같다. CS(컴퓨터망, 컴퓨터학개론) 지식관련된 수업을 많이 들어서 한번 정리해두면 다시 보는데 도움이 될 거 같다. 두 수의 곱 function solution(num1, num2) { var answer = 0; answer = num1 * num2; return .. 2023. 7. 15.
[자료구조/알고리즘] - Queue/Deque 큐는 FIFO, First-In-First-Out 선입선출로 처리됩니다. 지난번에 스택을 정리할 때 테니스공, 셔틀콕을 넣는 통에 스택을 비유 했었는데, 큐의 경우에는 다른 예시 보다 책 예시가 좋은 거 같아서 적어본다. 우리가 흔히 식당에 들어가기 위해서 대기줄을 서는 경우가 있는데 그 때 제일 먼저 대기줄에 선 손님분들 부터 입장을 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작동을 하는게 큐라고 보면 된다. 스택의 거의 모든 연산을 파이썬에서 지원해 주듯이 리스트는 큐의 모든 연산을 지원해줍니다. 주의할 점은 리스트는 동적 배열로 구현되어져 있어서 큐의 연산을 수행하기에는 효율적이지 않아, Deque라는 별도의 자료형을 사용해야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다. 어제오늘 큐 문제를 최대한 많이 풀려고 했는데 파이썬으로 푼 문.. 2023. 5. 13.
[자료구조/알고리즘] - 스택 자료구조를 배우게 되면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자료형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운영체제에서도 나오고 다른 CS 지식을 배우는 과정에서도 자주 나오는 자료형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다음 글로 Queue에 대한 부분도 작성하겠지만 스택의 경우에는 Last-In-First-Out, LIFO(후입선출)에 해당 합니다. 1학년 때 자료구조를 들으면서 들었던 좋은 예시로는 테니스공이나 배드민턴 공을 넣는 통이 생각이 납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제일 마지막에 넣은 셔틀콕을 우리가 셔틀콕을 사용하기 위해서 제일 먼저 꺼내게 됩니다. 파이썬에서는 스택 자료형을 별도로 제공하지는 않지만 리스트를 통해서 거의 대부분의 연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pop()과 같은 기능을 제공받아서 일일히 스택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 2023. 5. 11.
[자료구조/알고리즘] - 문자열 문자열 조작이란 문자열을 변경하거나 분리하는 등의 여러 과정을 말합니다. 언어에 따라서 문자형이 다로 없는 경우에는 비교적 조작이 까다로운 편이지만,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별도의 문자열 자료형과 문자열 조작에 대한 기능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언어에서 기능들을 잘 활용하면 좋습니다. 백준이나 리트코드 문제를 푼지 한참 되서 그냥 기억나는 문자열 문제들의 특징은 항상 전처리(?)를 잘해주면 문제 풀기가 편했다는 점, 그리고 파이썬으로 풀 때 정답 출력을 잘 맞춰줬어야 되는 점 정도 였던 것 같습니다. 문자열 관련 문제를 좀 찾아서 풀었는데, 문제를 풀면서 실수했던 부분이나 자주 사용하는 부분을 정리해봤습니다. 리스트 모아서 문자열로 출력해주기 str = ''.join(arr) # 숫자는 처리를 더 해줘야 함. .. 2023. 5. 10.
[자료구조/알고리즘] - 배열/array 자료구조는 크게 메모리 공간 기반의 연속 방식과 포인터 기반의 연결 방식으로 나뉘게 되고, 배열은 대표적인 연속 방식의 자료형이다. 연결 방식의 대표적인 자료형은 연결리스트를 생각하면 된다. C언어를 기준으로, 배열은 크기를 지정하고 해당 크기 만큼의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할당 하는 자료형이라고 보면 된다. 이렇게 크기를 정하고 생성한 배열은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 예를 들어서 int arr[5] = {4, 7, , 29, 0, 1}로 배열을 선언해주게 되면 정수형 int로 선언을 해주고 총 5칸을 배정해줬다고 보면 된다. 배열의 장점은 어느 위치에나 O(1)로 조회가 가능하다는 점. 주소를 기준으로 해당 메모리에 배치되어 있는 값을 바로 조회가 가능하다. 위에서 얘기하는 배열의 경우에는 고정.. 2023. 5.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