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DEV73

[백준][파이썬] 1193번 분수찾기 브론즈 문제 치곤 상당히 많이 고민했던 문제입니다. 다들 어떤 식으로 고민해서 푸는지는 모르겠지만, (1/1)-(1/2,1/2)-(3/1,2/2,1/3)-... 이런식으로 계속해서 숫자가 이어져 나가고 있을 때 몇 번째의 값을 구하는지 문제에서 주면 답을 찾아 주어야 하는 문제입니다. 생각했던 과정은 1,2,3 계속해서 1씩 늘어나는 숫자를 생각했을 때 2,3,4 순으로 분자+분모 값의 합이 나온다. 그러면 등차수열 처럼 값을 늘려서 계산해주면 되겠네 하지만 중간에 분자+분모 값이 홀수 인지 짝수인지에 따라서 분수의 순서가 달라진다. 그러면 그거는 2로 나눠서 나머지를 확인하면 되겠네 몇 번째 인지는 어떻게 생각을 해줄껀가를 고민했을 때, 저의 경우에는 (1/1)이나 (1/2,2/1) 처럼 대각선으로 한.. 2022. 1. 15.
꾸준히 다시 공부하기 2021.12.26일자로 다시 빡세게 백준 문제를 풀기 시작했습니다. 한 20일 정도 지났는데 하루에 그래도 한문제씩은 푸는 속도로 하나씩 꾸준하게 풀어가보려고 합니다. (이제는 진짜 전역의해가 밝았기 때문에 ㅎㅎ) 일단은 크게 계획을 세워서 풀고 있어서 한번 적어보자면 1. 백준 단계별 풀어보기 1)입출력 단계~12)정렬 단계 까지 정리하면서 기본정도는 쳐야 될거 같아서 하나씩 풀어보고 있습니다. (이전에 풀어봤던 문제도 있고, 아니면 파이썬으로 혹은 다른언어로 풀어본 문제도 있어서 하나씩 차근차근 돌아본다는 느낌으로 풀어보고 있습니다.) 2. 백준 단계별 풀어보기 그다음은 백준 강의에 있는 알고리즘 기초/중급 정도 까지 문제를 풀어볼까 합니다. 확실히 머리는 쓰는 만큼 잘굴러가는 거 같아서 입대하기 .. 2022. 1. 15.
[Portfolio 만들기] 어떻게 만들까? 구름 IDE를 통해서 포트폴리오 라고 해야 되나, 저의 지난 3년을 대충이나마 정리해둘 사이트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메인 프레임워크 Django로 결정을 하였습니다. → 결정 이유, 하던걸 일단 다시 써봐야 잘하는지 알 수 있어서 + 제일 잘 사용해서 → 이게 제일 사용하기 편해서 사이트에 담을 내용들 1. 지금까지 해왔던 프로젝트들 → 사이드 프로젝트 부터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 까지 기억나는 대로 내용을 정리해서 담아두기 2. 지금까지 해왔던 대외 활동들 → 거기서 뭘했고, 뭘 느꼈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둘 필요가 있음 3. 내가 할 수 있는 것들 → 중국어, 영어, 하다 못해 볼링, 프로그래밍 언어 까지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4. 디자인 → 최대한 깔끔하게 , 단순하게 내용을 .. 2021. 7. 3.
[백준] 1712번 손익분기점 with python 어떻게 접근을 했는가? 처음에는 막연히 생각했던게 그냥 봐도 손익분기점을 구하는 문제였고, 그냥 고정비용 빼주고, 나머지 가변비용을 생각해서 그걸 계산해주면 바로 풀리지 않을까 라고 생각을 했던 거 같습니다. 물론 문제를 풀면서도 그게 어느정도 맞긴 해서 거의 답에 근접 하기는 했었습니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 이걸로 일단 선언 해두기 b = input().split() un_v = int(b[0]) pl_v = int(b[1]) no_v = int(b[2]) temp = int(un_v / (no_v - pl_v)) temp2 = int(un_v % (no_v - pl_v)) if temp 0 and te.. 2021. 6. 27.
[회고일기] 벌써 7월 이라니.. 난 한 게 없는데 2021년 6월 3,4주차 벌써 다음주가 되면 저는 화이자 백신 2차를 맞게 되고, 7월이 될 예정입니다. 시간이 정말로 빨리 가는 거 같아서 군생활이 즐겁습니다 ㅎㅎ. 일단 지난 3주차를 리뷰 해보자면 나라사랑포털에서 진행 중이었던 자기개발비용에 대해서 수기를 적는 공모전이 있어서 그에 대해서 좀 적어 봤었습니다. 그냥 남는 시간에 뭔가 공부를 하기는 싫어서 이틀 정도를 공모전 수기를 적는데 집중을 해서 뭔가 결과를 내기에는 빠듯한 이틀이었지만 오랜만에 2000자가 넘는 글을 적고, 탈고 까지 맞춰서 제출 해봤습니다. 뭐 운이 좋으면 뭐든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는 백준 문제를 10문제 정도 풀었던 것 같습니다. 어떤식으로 파이썬을 공부 쭉 공부 해나갈까 생각하다가, 역시 백준문제를 차근히 풀어 나가는게 좋은 거.. 2021. 6. 27.
[TIL] FAST API 구름 IDE로 처음 사용해보기 처음으로 FAST API라는 것을 사용해보았습니다. 2019년과 2020년에 파이썬을 통해서 django와 flask에 대해서 공부를 했었고, 어느정도 혼자서 back 부분을 그 두 개 중 한가지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만들 수 있었던 실력을 쌓았던 것 같습니다. 그러고 나서 최근까지도 관련된 공부를 하다가 페이스북에서 fast api라는 프레임 워크에 대해서 보았고, 막연히 "이건 뭐지" 라는 생각으로 이번 주에 건드려 보았습니다. 아직까지 django나 flask를 구름 ide를 통해서 개발을 안해 봤기 때문에 그냥 하면 되겠지라는 생각을 했지만 문제가 한 가지 있었습니다. django 던 flask 던 실행을 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127.0.0.1:8000을 통해서 실행이 되어 지게 됩니다. 당연히 f.. 2021. 6. 23.
728x90
반응형